본문 바로가기

여러가지/테스트

(16)
[프로젝트] 접근 제어 - 스크립트 본 프로젝트에서는 로컬 서버의 ~/.ssh/config 파일에 대상 서버와 중앙 서버(프록시 서버)를  등록하여로컬 서버에서 대상 서버 ssh 접속 시, 중앙 서버를 거쳐서 대상 서버에 접속되는 상황을 구현했습니다.이때 중앙 서버의 방화벽 정책을 통하여 대상 서버로의 접근을 허용/차단 할 수 있습니다. ● 환경(OS) Rocky Linux release 8.10 (Green Obsidian)(서버 1) 192.168.112.218, 로컬 서버 - 사용자(서버 2) 192.168.112.219, 중앙 서버 - 접근 제어   ● 파일(a) 로컬 서버(파일) ~/.ssh/config※ 대상 서버와 중앙 서버(프록시 서버)를  등록하는 파일입니다.------------------------------------..
[실습] Blog ● 구조-----------------------------------------------------------------------------------------------------------------------------------------------------------------blog/├── app.py├── templates/│   └── home.html│   └── post.html│   └── add_post.html │   └── edit_post.html├── requirements.txt----------------------------------------------------------------------------------------------------------..
[참고] sqlite3 데이터베이스 : .db (ex. contacts.db) 파일에 해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종료 후 재시작해도 데이터 유지됩니다. ※ .db (ex. contacts.db) 파일 내용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sqlite3 contacts.db> .tables> SELECT * FROM contact;> .exit
[실습] Address Book - delete 기능 추가 post = Post.query.get_or_404(post_id)Address Book(1)에서 추가된 목록을 추가했습니다. ● 파일(파일) app.py-----------------------------------------------------------------------------------------------------------------------------------------------------------------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request, redirect, url_for from flask_sqlalchemy import SQLAlchemy app = Flask(__name__) app.config['SQLALCHE..
[실습] Address Book ● 구조-----------------------------------------------------------------------------------------------------------------------------------------------------------------address_book/├── app.py├── templates/│   └── home.html│   └── add_contact.html├── requirements.txt---------------------------------------------------------------------------------------------------------------------------------------..
[참고] HTTP 메소드 ● HTTP 메소드- GET: 서버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위해 사용ex) 사용자가 웹 페이지 (/) 경로에 접근할 때 브라우저가 GET 요청 보낸다.즉, 웹 페이지를 브라우저에 로드할 때 사용된다.- POST: 서버로 데이터 전송하기 위해 사용- PUT: 서버의 리소스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 DELETE: 서버의 리소스 삭제하기 위해 사용
[참고] Python3 가상 환경 Step1.  가상 환경 생성# python3 -m venv venv Step2. 가상 환경 활성화# (Linux) source venv/bin/activate# (Windows) venv\Scripts\activat Step3. 가상 환경 비활성화# deactivate
[참고] 선수 작업 1) python3 설치# yum install -y python3 2) 최신 패키지 업데이트# yum -y update 3) pip3 패키지(가상 환경에서 진행)[참고] https://uyijune15.tistory.com/223 [정리] Python3 가상 환경Step1.  가상 환경 생성# python3 -m venv venv Step2. 가상 환경 활성화# (Linux) source venv/bin/activate# (Windows) venv\Scripts\activat Step3. 가상 환경 비활성화# deactivateuyijune15.tistory.com# pip3 install --upgrade pip# pip3 install gunicorn